구르는돌

블로그 이미지
by soil21
  • Total hit
  • Today hit
  • Yesterday hit


VNC 설정에 대해서 너무나 잘 설명되어져 있는 블로그 글
리눅스에서 VNC 설정하다가 포기하려는 찰나.. ㅋ
혜성과 같이 구글에서 검색되는 센스.. ㅋㅋ

  * root 권한의 X를 설정한다.

1. 일단 vncserver를 설치 한다.

  # yum install vnc-server

2. 우리가 건드려야 할 파일은 다음과 같다.

/etc/sysconfig/vncservers
/root/.vnc/xstartup

먼저 첫번째 파일은 수정한다.

#vi /etc/sysconfig/vncservers


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.

- 첫번째 VNCSERVERS="1:root" 란 Display 번호를 매기는 것이다.

- 두번째 VNCSERVERARGS[1]="-geometry 1280x800 -nolisten tcp -nohttpd"

설정을 통해 해상도와 연결방식에 대해 설정한다.
3.root 밑에 .vnc 디렉토리를 생성한다
# mkdir ~/.vnc 

4. Password를 정한다.

# vncpasswd

5. X를 띄우자!

윈도우나 리눅스에서 vncserver  에 접속을 하게되면 회색 화면만 볼 수 있다.

이걸로 해서는 결국 ssh접속이나 다를바 없다.(사실 더 불편하다.)

# vi ~/.vnc/xstartup



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.

5,6 번째 줄의 주석을 제거하여

unset SESSION_MANAGER

exec /etc/X11/xinit/xinitrc

가 작동하도록 하자.

6. 방화벽 설정
일반적으로 리눅스를 설치하면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다.
vncserver의 경우 5901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포트만 열어 준다면
아무런 문제 없이 원격 접속이 가능하다.

시스템 -> 관리 -> 방화벽
을 실행 시키자.
사용자 삽입 이미지

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.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두번째 그 외의 포트 를 선택, 오른쪽의 추가를 선택한다.
사용자 삽입 이미지

위와 같이 나오는데 사용자 정의 에 체크를 하면 직접 포트 번호를 입력 할 수 있게 된다.
5901 번 포트(vncserver는 기본적으로 5900번 대의 포트를 사용한다. 기본 포트 + 디스 플레이 번호를 포트 번호로 사용하므로 5901 번이 된다.)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 후 아래 그림과 같이 적용을 누르면 포트번호가 허용이 되도록 설정되어 진다.
사용자 삽입 이미지

7. vncserver를 띄운다.

띄우는 방법은 보통 2가지가 있다.

# vncserver :1

# service vncserver start


위에 방식은 1024x768 고정 사이즈로만 나온다.

아래 방식은 설정한 해상도로 나온다.



8.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.~!

vncviewer를 이용하여

IP주소:1 (1은 /etc/sysconfig/vncservers 에서 설정한 Display Number)


위의 화면은 모니터 + 노트북 으로 듀얼로 구성된 상태이다.

반응형
AND

ARCHIVE

CALENDAR
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
RECENT TRACKBACK

RECENT COMMENT

RECENT ARTICLE

ARTICLE CATEGORY

분류 전체보기 (175)
가족일기 (3)
낙서장 (39)
밥벌이 (30)
추억 (6)
사회 (27)
혼자만의 방 (2)
생태 (4)
눈여겨 보는 곳 (1)
어머니 일기 (38)
윤선애 (1)
생활 단식 (11)
동거동락 자전거 (2)
반응형